의료기기 인허가/정보글

2022 년 의료기기 규제과학(RA) 전문가 중기과정 교육안내 - 1

똘똘한김똘똘 2022. 3. 31. 19:08
728x90

몇일전 제 일화를 쓰면서 설명한 [2022년도 미취업자 대상 의료기기 RA 교육과정] 공고를 우연히 보게되어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의료기기 교육과정은 1주일짜리 단기과정(해외인허가, GMP 등), 한달짜리 중기과정, 그리고 1일짜리 교육과정(특별교육)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의료기기 RA 중기과정만이 미취업자분들이 무료로 수강 가능하고, 나머지 교육과정은 재직자분들만 수강 가능한 점 참고해주세요.

2022년 의료기기 RA 전문가 중기과정 교육 안내문 일부 https://cafe.naver.com/raspecialist/31231

 

위의 교육과 관련된 자세한 공고 및 설명자료는 아래의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붙임1. 2022년도 의료기기 규제과학(RA)전문가 중기과정 교육 안내문.pdf
1.82MB

 

 

제가 이 교육과정을 이수한지 어언 4년이 지났으나, 교육접수방법이나 교육기간 등은 크게 바뀐 것이 없는 듯합니다.

다만 제가 처음 교육신청했을 때에는 구직사이트나 이메일로 접수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고용노동부 직업훈련포털 HRD-Net 에서 접수하는 것으로 바뀐 것 같습니다.

 

 

모집자료에는 의료기기 RA에 대한 사전적인 정의와 교육의 구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위에 적힌 RA 정의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은 정말 할말이 많지만... 지금은 교육 위주로 한 번 보고자 합니다.

교육과정은 제가 들었던 때랑은 구성이 완전히 동일합니다. 과정은 크게 5개의 파트(시판전 인허가, 품질관리, 사후관리, 임상, 해외인허가)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extra로 취업특강 + 업체현장실습 + 멘토지원 + 채용공고안내 (일자리 알선) 으로 혜택(?) 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취업특강과 채용공고 안내정도까지 받아봤는데, 업체현장실습과 멘토지원은 최근에 추가로 생긴 듯 합니다. 작년에 현업에 있었을 때 의료기기 제조업체 대상으로 현장실습과 실무자 대상으로 멘토 신청을 받는 얘기를 들었거든요. 아무튼, '의료기기 RA 교육은 이러이러한 구성과 혜택이 있구나~' 정도로 파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의료기기 RA교육을 들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요, 사실 RA쪽으로 구직을 희망하시거나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꼭 알아두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의료기기 RA 자격증] 인데요, 해당 자격증은 2급과 1급으로 나눠져있습니다. 의료기기 RA 자격증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 자격증이 있다고 해서 사실 실질적인 업무를 하는 데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자격증 취득여부를 의료기기 업체 (제조, 수입, 컨설팅)들이 신입 RA 직원들을 채용할 때 우대사항으로 많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면 의료기기 RA 교육이랑 의료기기 RA자격증 취득이랑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그건 바로 아래의 의료기기 RA 전문가 2급 자격증 설명을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해당 자격증은 직무와 무관한 학과를 졸업하신 대졸, 전문대졸 (졸업 예정포함) 분들은 교육 미이수시 응시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RA를 많이 지원하시는 4년제 대학 의공학과 졸업자들은 교육없이도 응시가 가능하나,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분들은 교육을 추가적으로 이수해주셔야지 RA 자격증 시험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의료기기 RA 2급 자격증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본 교육을 꼭 응시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아셔야될 부분은, 해당 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증 (예: 전기기사, 의공기사)' 이 아닌 '국가공인 민간자격' 입니다. 

 

본 교육을 수료하시기 위해서는 여타 다른 교육들과 유사하게 총 80% 이상 참석하셔야 합니다. 다만 좋은 점은 교육기간 내에 취업을 하시는 경우에는 교육과정을 끝까지 이수하지 못했더라도 수료한 것으로 인정해줍니다 (즉, 한 달짜리 교육과정에서 첫 1주차 교육한 상태에서 취업한 경우 이후 3개주차 과정을 듣지 않더라도 교육 이수처리됩니다). 이러한 수료조건과 관려해서 추가적으로 문의가 필요하다면 주관기관에게 문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료 혜택은 제가 들었던 때에서 더 개선된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참여수당이 지급된다는 점입니다. 저는 교재비로 10만원 정도 지불을 했었는데, 이후에는 전액지원 및 참여수당까지 지원해주는 것으로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앞서 설명드린 '의료기기 RA전문가 2급 자격증' 시험 응시 지원 자격을 얻기 위해서라도 꼭 교육을 지원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현장실습 및 멘토 매칭에 대한 부분도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2일이라는 기간이 현장실습을 위해 결코 충분한 기간은 아니지만, 추후 면접이나 자기소개서 작성 시 어필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보입니다. 

본 교육과정을 지원하시기 위해서는 미취업상태로 지원하셔야 합니다. 만약에 현재 다른 회사에서 근무중이시라면 퇴사를 하시고 접수를 하셔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교 3학년 이하이시거나, 4학년 1학기 재학중이신 분들은 아쉽지만 조금 기다리셨다가 4학년 1학기 이수 후에 지원을 하셔야 합니다. 

제가 수강했을 당시 의료기기 RA 중기과정은 대략 40명정도 모집인원 제한이 있었는데, 선발을 위해서 서류전형 + 면접전형 두 단계로 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년도는 다행히도(?) 코로나로 인해 면접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고 서류심사로만 진행한다고 합니다.

교육 신청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교육 신청 자체는 HRD-NET을 통해서 하고 있고, 몇 가지 염두하셔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하이라이트 표시하였습니다.

우선 재직자는 교육수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만약에 재직중이신 분들이 교육이수하시고 싶다하시면 빨리 퇴사를 하시거나, 또는 교육 신청 시 '교육시작일 이전 XX월XX일에 퇴사예정이다' 라는 퇴사예정증명서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퇴사 통보 후 회사측에 관련 서류를 요청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로 교육생 선발의 당락을 가르는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를 열심히 작성해서 제출하셔야 합니다 (제일 중요).

마지막으로, 고용노동부 일자리 지원사업에 이미 참여하신 분들은 신청이 안된다고 합니다. 빅데이터나 IT과 같은 국비교육을 수강하신 분들은 아쉽게도 본 교육에 지원이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주관기관 담당부서에 문의하셔서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위의 서류들 제출 시 압축해서 전달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위의 교육과 관련해서 추가 설명은 다음 글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