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인허가/정보글

논문 검색하고 무료로 열람하는 방법

똘똘한김똘똘 2022. 5. 10. 19:14
728x90

임상평가를 하게 되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학술 검색 엔진 - Google Scholar

 

 

 

의료기기 인허가 업무를 하게 되면 최대한 미루고 싶고, 제일 맞닥뜨리기 싫은 임상평가. 임상평가는 특히 유럽 인허가 시에 거의 필수인 항목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임상평가를 통해서 제품의 임상적 안전성과, 성능을 입증하고, 심사원은 제품 임상평가가 적절히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비단 유럽 인허가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인허가를 할 때에도, 심지어 국내 인허가를 할 때에도 논문 검색이 필요한 순간들이 있습니다. 바로 3등급 제품 인허가 시 작용원리에 관한 자료를 제출할 때 입니다. 이 경우에 임상평가만큼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제품의 작용원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논문은 어떻게 검색할까요?

 

 

저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하나는 구글 학술검색 (Google Scholar)이고, 다른 하나는 Pubmed 입니다. 먼저 구글 학술검색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의 이미지 처럼 검색창에 입력하고 싶은 키워드를 넣고 엔터를 칩니다. 이때 키워드는 보통 유사제품 (동등기기)가 논문에 식별될 수 있도록 유사제품명(모델명 등)이나 일반명칭, 또는 제조사명 + 일반명칭 등의 조합으로 기입합니다.

 

 

 

위의 결과들을 보고 하나하나씩 확인해야 하는데, 결과가 무려 529 개 입니다. 이거를 다 보고 있다간 다른 일을 못할 것 같네요. 그래서 왼쪽 상단의 기간설정을 해주려고 합니다. '기간설정'을 누르고 원하는 기간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찾는 시점에서 5년 전까지의 논문을 찾습니다.

 

 

그래도 아직 결과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키워드를 바꾸거나, 아래와 같이 검색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색을 시도합니다. 검색연산자를 사용한 방법은 고급검색기능 중 하나로, 고급검색기능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파일을 확인바랍니다.

링크: 필요한 논문만 쏙! 뽑아검색하는 Google Scholoar 이용가이드 - UNIST Library

https://library.unist.ac.kr/libguide/wp-content/uploads/sites/2/2019/07/Google-scholar-이용가이드_1903.pdf

출처: 필요한 논문만 쏙! 뽑아 검색하는 이용 가이드 - UNIST Library

 

 

저는 검색결과 중 하나의 논문을 확인해보고자 클릭해서 사이트로 들어갔습니다. 다운로드를 하려고 하니 돈을 내라고 합니다.

 

 

논문은 출판사의 저작권이 있는 지적재산권 중 하나입니다. 출판사에서는 또한 서버 유지비용과 논문 심사 등에 필요한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에 논문을 열람하기 위해서 돈을 지불하라고 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에서는 규격(표준)도 안사는 마당에 고작 인허가에 필요한 논문보는데 수십만원의 비용을 지불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일부 대학교에 인맥이 있는 사람들은 아는 사람을 통해 학교 계정으로 볼 수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어둠의 경로, 'Sci-Hub'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Sci-Hub 는 자유로운 논문 열람을 가능하게 하는 고마운 사이트 중 하나이다. Sci-Hub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으면 구글 검색결과 참조

 

 

Sci-Hub 대문 (링크: sci-hub.se).  Sci-Hub는 주소가 종종 바뀌는 편이다. 따라서 어느날 사이트 접근이 안된다면 구글로 검색해서 변경된 Sci-Hub의 주소를 찾아야 한다. 예전에는 sci-hub.tw도 사용됐던 기억이 있다.

 

위의 reference에는 논문의 제목이나 DOI 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DOI 번호는 검색해서 들어간 논문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찾고 싶은 논문 제목이나 DOI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검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목이나 DOI를 맞게 넣었음에도 아래와 같이 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Sci-Hub가 확보하지 못한 논문이라 검색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뜨는 경우에는 아쉽지만 다른 논문을 검색해보셔야 합니다.

 

 

Sci-Hub에서 논문 검색에 실패헀을 때 뜨는 화면. 이 경우 해당 논문이 데이터베이스에 없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논문을 검색해야 한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Pubmed에서 논문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Pubmed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는 학술 검색 엔진으로, 제 개인적으로는 느끼기에는 의학분야에서 Google Scholar보다 신뢰성있는 논문들을 검색해서 보여주는 검색엔진인 것 같습니다 (검색 결과는 Google Scholoar보다 상대적으로 양이 적습니다). 아래의 Pubmed 링크를 따라 사이트에 들어간 뒤 검색창에 Google Scholar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Pubmed 링크: https://pubmed.ncbi.nlm.nih.gov/

Pubmed 사이트 대문. 검색칸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검색을 시작한다.

 

검색결과. 왼쪽에 위치한 옵션 도구들을 이용해서 검색결과 중 조건에 맞는 원하는 결과들만 추려낼 수 있다.

 

 

확실히 Google Scholar의 검색결과보다는 양이 적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약 500 개 -> Pubmed 약 30 개). 왼쪽에 위치한 것들은 검색필터링을 위한 설정값들입니다. 만약에 2006년에서 2011년 사이에 출판되었고, 임상시험과 관련된 논문을 찾고 싶다면 'RESULTS BY YEAR'의 범위를 2006-2011로 조정한 뒤 'ARTICLE TYPE'의 'Clinical Trial'에 체크를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이 원하는 논문들만 추려낼 수 있습니다. 

필터링된 검색결과. 아무런 필터링 옵션이 적용되지 않았을 떄보다 검색결과가 줄어들었다 (전: 28 개 => 후: 2 개)

 

참고로, Pubmed 검색결과 중 Free PMC article 이라고 표시된 논문들은 무료로 열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그외의 것들은 출판사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것들이 있고 아닌 것들이 있으니, 필요한 경우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Sci-Hub에서 조회 후 열람하시면 됩니다. 또한 Pubmed도 Google Scholar처럼 검색연산자기능을 지원하니, 아래와 같은 참고자료를 참고해서 보시면 더욱 효율적으로 논문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Pubmed 검색과 활용법 - 을지대학교 도서관

http://lib.eulji.ac.kr/eulhos/etc/download/med/2020_pubmed_이용법.pdf

 

 

다음 글에서는 논문이 아닌 영문도서를 무료로 열람하고 다운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